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조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

컨텐츠내용 프린트하기 링크 주소복사

뉴스 내용시작

2021년 약사위원회 소식(3차)

작성일 21-07-19

회의일시 :  2021.07.13(화) 17:00~

 

1. 신약신청 현황

가. 신청 품목 수 : 45품목

나. 심의 품목 수 : 45품목 (대체 14품목, 신규 31품목)

2. 신약심의 결과(45품목 중)

가. 통과(24품목) : 원내 6품목, 원내외 10품목, 원외 8품목

나. 조건부 통과(3품목) : 3품목 통과 => 원내 1품목, 원내외 2품목

1) 오라팡 정 : 장 정결제 6개월 뒤 1품목 정리 조건으로 승인 => 동의

2) 줄토피 플렉스터치 주: 솔리쿠아펜 6개월 뒤 코드중지 조건으로 승인 => 동의

3) 조스 정 : 수면유도제 1품목(졸피람) 정리 조건으로 승인 => 동의

다. 탈락(16품목)

1) 무코스타 서방정 : 원외만 대체로 신청하여 원외만 대체 불가능, 무코스타정 원내, 무코스타 서방정 원외일 경우 혼선 발생 => 추후 신규로 고려

2) 비오플 250 캡슐 : 타과동의 누락, 비급여 약제, 비오플산 대체시 TF 환자 투약 어려움

3) 이니바실루스 산 : 타과 동의 누락, 급여이지만 메디락에스산보다 본인부담금 높음

4) 베라클 정 : 타과동의 누락, 오리지널약제 대비 고가임

5) 넵틴 정 : 타과동의 누락

6) 세프디어 세립 : 타과 동의 누락, 오리지널약제 대비 고가임

7) 에스케이 알부민 주 : 약제관리 어려움, 추후 녹십자 알부민 공급차질 시 재논의

8) 베마케스트 주 : 비급여 약제로 고가임, 약제관리 어려움(100A단위 입고)

9) 아모잘탄 엑스큐 정 : 복합처방 건수 저조

10) 아서틸 플러스 아르기닌 정 : 복합처방 건수 저조

11) 칸데암로 정 16/10mg : 원내 예상 사용량 저조

12) 대웅바이오 아토르바스타틴 정 : atorvastatin 제제가 4종이 있으며, 다른 약제로 20mg 처방이 가능함

13) 실넥신 정 : 1+1 기준 사용량 미충족

14) 코푸진 시럽 : 1+1 기준 사용량 미충족

15) 트랜스텍 패치 : 약품 관리 어려움. 예상 사용량 저조, 유효기간 관리문제

16) 칼도롤 주 : 비급여 약제로 고가임. 대체 가능약 있음

라. 보류(2품목)

1) 베아맥 정 : 20년 하반기 원내외 신청→원외만통과(원내 탈락으로 1년이내 재신청 불가)되어 다음 심의에 재 논의

2) 발사르텔 정 : valsartan 성분에 대한 NDMA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으므로 원료에 대한 안전성 문제 해소 시까지 보류

마. 신약모니터링 대상 품목(5품목) : 줄토피 플렉스터치 주(insulin degludec, liraglutide), 아미티자 연질캡슐(lubiprostone), 조스 정(eszopiclone), 에퀴피나 필름코팅정(safinamide), 온젠티스 캡슐(opicapone)

바. 기타 의결사항

1) 인트라리피드 10% 500ml, 클리노레익 20% 250ml 대체로 스모프리피드 20% 250ml 도입에 관한 건 : Hospice, HMO, KD, GI 동의로 승인

2) 딜라트렌 전체 용량을 원내외로, 카르베롤을 원외로 사용 구분 변경에 관한 건 : KD 동의로 승인

3) 페르본 주사 용량 변경에 관한 건 : 페르본 주사 30, 50, 100mg 신청으로 통과되었으나 chemo regimen상 용량문제로 인하여 50, 100, 300mg 용량으로 변경 => GS 동의로 승인

 

3. 심의기준 논의

가. 대체약 신청 관련 : 사용량이 가장 많은 진료과에서만 대체 신청 가능. 타과 70~80%의 동의를 득해야만 승인 가능

나. 신청자 관련 : 주임과장이 신청 → 신청자가 명확하지 않아 신청자 서명 & 주임과장의 서명을 득할 것