회의일시 : 2019. 11 . 7 .(목)
1. 회수 및 철회의약품 보고
가. 유한양행 : 엠지티엔에이, 폼스티엔에이 - 엔도톡신 함유로 인한 코드중지
나. 행정당국 회수 : 라니티딘 포함제제(큐란, 알비스) - 발암물질 함유로 인한 코드 중지 및 환자 회수
2. 응급신약 보고
가. 신규 : 총 6품목(경구 5, 주사 1)
나. 대체 : 총 10품목(경구 5, 외용 1, 주사4)
3. PRN 목록 검토 및 정리
가. 코드중지된 약이 PRN 목록으로 유지됨(스토몰, 아달라트) : 전산 변경하여 코드 중지된 약품은 자동으로 PRN 목록에서 제외하기로 함
나. 경구용 속효성 진통제 : 아이알코돈 사용량이 적어 PRN 목록에서 제외
다. 추가 논의 약제
1) 경구용 소염, 진통제 : 에어탈, 록스펜, 쎄레브렉스 중 신경과 의견 수렴
2) 진해거담제 : 코푸시럽 추가
3) 항궤양제 : 가스터 주, 디오겔 Pk 추가
4) 50% D/W 100ml → 20% D/W로 변경(내분비내과 의견 수렴)
4. 19년 상반기 신약 효과 모니터링
가. 선정대상 : 7품목(진료의 10인 작성)
나. 모니터링 기간 : 2019.7~2019.9(3개월)
다. 문제점 : 모니터링 서식 수렴에 어려움 발생/처방의가 아닌 제 3자가 작성하여 신뢰도 저하
라. 대책
1) 신약신청시 모니터링 필요성에 대한 홍보
2) 신약 통과 후 모니터링 대상에 대한 공지
3) 신청자가 아닌 신청과에서 모니터링 서식 완성
4) 비 협조시 다음 심의가 제한 될 수 있음을 공지
5. 18년 소모부진 신약/19년 상반기 신약 사용 현황
가. 하반기 소모부진 신약 12품목 중 1품목(뉴스타틴 TS 80/10/20mg)이 여전히 소모부진 상태 → 복합제 신청시 처방량 통계에 따른 도입여부 평가 필요
나. 상반기 신약 사용현황
1) 복합제 사용량 저조 : CV 복합제
2) 특수한 경우에 사용하는 약제의 사용량이 없음 : 다제내성결핵치료제, 금연치료보조제, 항암제
3) 원외 사용량에 비하여 원내 사용량이 저조한 약제는 원외 처방으로 변경 필요
6. 하반기 신약검토 및 일정
가. 신청현황(총 68품목) : 신규 40품목, 대체 28품목
나. 심의지침을 어긴 경우
1) 신청가능 수량을 지속적으로 초과하는 진료과에 대한 논의 : 약제부에서는 수량이 초과하였음을 원칙적으로 통보만 하고,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신약심의 시 약사위원회에서 결정하기로 함
2) 100위 제약사 이외의 약제 및 original/generic 약제에 대한 논의 : 매출액 순위가 100위가 넘었다고 하더라도 특정 효능군에 대해 특화된 제약사도 있을 수 있으나, 다른 제약회사가 많이 있는데도 굳이 순위가 쳐지는 제약사의 약제를 이용할 필요도 없음. 생동성 시험을 통과하지 못한 제네릭 제품에 대한 정보는 자료에 명확히 기재하여 심의 시 활용하도록 함
다. 심의일정
1) 약사위원회 5차 회의(신약심의) : 2019.11.21(목) 17:00
2) 항생제 소위원회의 : 2019.11.26(화) 13:30
3) 약물부작용 모니터링 소위원회의 : 2019.11.28(목) 13:30
7. 샘플의약품 관리방안 논의
가. 샘플의약품의 현황을 파악한 결과(ED, ENT, PD) 교육용이 아닌 불필요한 약제가 지나치게 많음 → 각 부서와 논의하여 꼭 필요한 약제에 대하여 의견을 조율하고 전산으로 목록 관리를 하고자 함
나. 샘플의약품 관리에 대한 지침이 없는 상태이므로 사용목적, 관리방안, 사용기간, 폐기에 대한 지침을 신설하여 각 부서와 공유하고, 교육용으로만 사용하는 샘플의약품에 대한 관리를 시행하고자 함
8. 기타
가. 소모부진 의약품 변경사항(총 28품목) : 코드중지 23품목, 원내외 변경 5품목